J Korean Neurol Assoc > Volume 38(2); 2020 > Article
성 발렌티노, 뇌전증 환자들을 지키다

Abstract

Background

Saint Valentine is a well-known patron saint of lovers. However, few know that Saint Valentine is the patron saint of epileptics.

Methods

The origin of Valentine's day, the life of Saint Valentine, and his association with epilepsy were investigated through sundry literature, including medical, historical, religious, and literary as well as scientific sources.

Results

Saint Valentine was a priest and martyr of the 3rd century. Through the monastery medicine age, he became widely known as a patron saint of epilepsy. Valentine’s day became an anniversary related to love by poets and writers such as Geoffrey Chaucer and William Shakespeare.

Conclusions

While science and medicine have made remarkable progress in modern times, Saint Valentine would still be needed for epileptics.

서 론

수호성인(patron saint)이란 가톨릭교회 등에서 어떤 특정한 개인이나 단체, 지역, 국가, 교구, 성당을 보호하는 성인을 일컫는 말이다[1]. 신자들은 자기가 특별히 좋아하는 성인이나 성녀를 택하여 모시고 그 이름을 세례명으로 받으면, 수호성인은 사랑의 모범을 보여주며 전구를 보장해준다[2]. 또한 이 수호성인들은 ‘축일’이라는 개념으로 달력에서 하나 이상의 날짜에 대응되어 있는데, 이것을 ‘성인 달력(calendar of saints)’라고 부른다. 이 날짜는 기념의 의미를 가진다기보다는 특정 성인에게 헌정(dedicate)하는 의미가 더 크다고 하겠다.
성 발렌티노(영문: Saint Valentine, 국어 표기법은 “밸런타인” 이지만 우리나라 가톨릭에서는 “발렌티노”로 표기하고 있다[3])는 3세기의 순교자로서 사랑과 결혼(또는 약혼), 연인들의 수호성인으로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축일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축일의 주인이다. 밸런타인데이(Valentine’s day)로 잘 알려져 있는 2월 14일이 바로 성 발렌티노의 축일이며, 오늘날 우리는 이 날에 사랑하는 사람끼리 선물이나 카드를 주고 받곤 한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매우 유명한 그리고 매년 2월 14일이 되면 누구나 설레는 날의 주인인 바로 그 수호성인이 사실은 뇌전증 환자들의 수호성인임을 아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이에 본고에서는 밸런타인데이의 기원, 성 발렌티노의 생애 그리고 뇌전증과 성 발렌티노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 뇌전증 환자들의 수호성인으로서의 의미를 알리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성 발렌티노에 대한 자료를 탐색하기 위하여 PubMed와 GoogleⓇ에서 영문으로 ‘Saint of eilepsy’, ‘Patron saint of epilepsy’, ‘Saint Valentine’ 그리고 ‘Saint Valentine’s day’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다. 밸런타인데이의 유래와 성 발렌티노의 생애에 대하여 국제전문학술지, 서적, 웹사이트, 가톨릭 교리서, 성경, 신문기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문헌에 대하여 자세한 추가 검색을 시행하였으며, 뇌전증의 수호성인으로서 등장하는 성 발렌티노에 대해서는 상호 심사 학술지(peer-reviewed journals)와 전자도서관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자료를 모아 비교 및 대조하였다. 가톨릭 교리서와 성경의 인용에 대해서는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결 과

1. 밸런타인데이의 유래

Oruch [4]에 의하면, 영국의 대표적 시인 중의 한 명인 초서(Geoffrey Chaucer, 1343?-1400?)가 쓴 “새들의 의회(Parlement of foules)”에 의하여 처음으로 밸런타인데이를 사랑과 연관 짓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당시 15세의 영국 왕 리처드 2세(Richard III, 1367-1400)와 15세의 신성로마제국의 공주인 앤(Anne of Bohemia, 1366-1394)이 1381년 5월 2일에 약혼한 후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시(poem)이다[5]. 몽상적 내용에 압운과 연을 갖춘 이 시는 약 700행에 이르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For this was on seynt Volantynys day
Whan euery bryd comyth there to chese his make.
이것은 현대 영어로 “For this was Saint Valentine’s day, when every bird cometh there to choose his mate.”이며, “성 밸런타인데이에 모든 새들이 모여들어 짝을 찾는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영국의 극작가 셰익스피어(Willian Shakespear, 1564-1616)의 희곡 햄릿(Hamlet: 정식 명칭은 The Tragedy of Hamlet, Prince of Denmark)의 4막 5장에서 오펠리아(Ophelia)는 “your Valentine”이라는 유명한 구절을 사용하여 노래하는데, 그 내용은 Table과 같다[6].
위와 같이 걸출한 작가들이 밸런타인데이와 사랑을 연관 짓고, 이것이 여러 경로로 인용되거나 언급되는 과정에서 밸런타인데이는 자연스럽게 연인들을 위한 날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보다 이전에도 밸런타인데이는 존재하였는데, 가톨릭 성인의 축일이었다. 성 발렌티노의 축일은 서기 496년에 교황 젤라시오 1세(Gelasius I, 재위 492-496)에 의하여 지정된 바가 있다[7]. 하지만 당시에 “…whose names are justly reverenced among men, but whose acts are known only to God.”이라고 말할 정도로 성 발렌티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8]. 또한 초서의 시가 나오기 전에는 연인이나 사랑에 대하여 언급한 기록이 없었기 때문에[4], 밸런타인데이에 사랑에 관련된 풍습이 생겨난 것은 성 발렌티노의 성직자로서의 발자취 때문에 발생하였을 가능성보다는 초서와 셰익스피어 등의 시인이나 문학가들에 의하여 현재와 같은 사랑과 관계된 기념일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성 발렌티노의 생애

그렇다면 성 발렌티노는 언제부터 등장하는가? 기록이 많지 않아서 정확성이 떨어지고 전설과 같은 이야기로서 전해지는 내용이 많지만 성 발렌티노는 로마의 성직자로 알려진 성 발렌티노와 Interamna (이탈리아 Umbria의 남부 도시, 현재의 Terni)의 주교로 압축된다. 여러 문헌이나 학자들은 이 두 사람은 사실 동일 인물이라고 보고 있다[5,9-12]. 가톨릭의 Terni 교구의 공식 기록에 따르면[13], 성 발렌티노 주교는 현재의 Terni의 옛 이름인 Interamna에서 태어났으며, 2월 14일에 순교하였는데, 연도에 대해서는 269, 270, 273년 등의 이야기가 있으나 269년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4,9,10,14,15].
성 발렌티노는 354년에 제작된 첫 번째 성인 달력인 로마 순교록(Chronograph of 354)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5세기 중반에 제작된 예로니모 순교록(Hieronymian Martyrology, the Martyrology of Saint Jerome)이며, 여기에서 성직자 발렌티노와 주교 발렌티노의 기록은 각각 다른 성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6]. 이후로도 성 발렌티노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 문헌에서 등장하는데, 1493년에 출판된 뉘른베르크 연대기(Nuremberg Chronicle)에서는 클라우디우스 2세에 의하여 처형당한 로마의 성직자이자 순교자로 설명하고 있다(Fig. 1) [15,17].
이 외에 전해져 내려오는 유명한 일화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성 발렌티노가 성직자로서 활동하던 시기에 황제인 클라우디우스 2세는 전쟁터에 나가는 남자들의 전투 의지를 위하여 결혼을 금지시켰다. 이 시기에 성 발렌티노가 비밀리에 남녀들의 결혼식을 치러주었다고 하며, 이로 인하여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9,18]. 한편, 성 발렌티노는 감옥에서 아스테리우스(Asterius)라는 관리의 양녀를 알게 되었는데, 이 소녀는 맹인이었다. 아스테리우스의 청을 받아 성 발렌티노가 이 소녀의 눈에 손을 대고 기도하자 곧 눈을 떴다고 한다. 이에 아스테리우스는 46명의 가족과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였다[18,19]. 하지만 당시는 그리스도교가 박해 당하던 시기로서, 이러한 포교 활동 때문에 성 발렌티노는 당시 황제인 클라우디우스 2세 앞에 끌려가 처형당하였다고 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15세기까지도 성 발렌티노는 사랑이나 연인과 같은 의미보다는 가톨릭의 순교자로서의 정체성이 더 강하였다. 앞서 이야기한 초서 이후의 문학자들의 시와 희곡이 탄생하기 전까지 성 발렌티노는 온전히 성직자로서 알려져 있었다.

3. 뇌전증의 수호성인으로서 성 발렌티노

뇌전증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다[20]. 이미 기원전 3000년 경에 바빌로니아에서는 Sakikku라는 의학서에서 뇌전증을 기록하였으며, 기원전 1700년경 이집트에서는 Edwin Smith Papyrus에서 전신강직간대발작의 자세한 모습을 기록하였다[21]. 이러한 뇌전증의 오랜 역사와 성 발렌티노의 접점을 찾기 위해서는 근대 의학이 발달하기 전에 종교와 질병이 어떻게 맞닿아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중세 의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수도원 의학의 존재이다.
비록 히포크라테스가 “The Sacred Disease”에서 뇌전증은 초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으나[11] 이후로 여러 세기에 걸쳐 뇌전증은 초자연적인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성스러운 또는 신비로운 질병으로 생각하였다[10,20,22,23]. 잘 알려져 있듯이 종교의 영향력이 지대하였던 중세의 유럽에서는 각지의 수도원이 의료의 중심이었다. 수도원에서는 인도주의와 박애로써 무상으로 의료를 행하였다. 수도원의 의무실(infirmatorium)에서 펼쳐지는 중세 의학은 초자연적이면서도 종교적인 내용이 혼합되어서, 질병과 죄악의 관계를 중시하고 치료의 방법으로 기도를 하거나 동물이나 식물을 섭취하는 등의 행위가 이루어졌다. 예컨대, 성경에서는 구체적으로 뇌전증 환아의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예수께서는 이 병으로 고통받는 소년에게서 악마를 쫓아 내셨다고 하며(마태오 복음서 17:14-18, 마르코 복음서 9:14-27, 루카 복음서 9:37-43) [24-26], 이에 따라 믿음과 기도는 뇌전증의 중요한 치료법이 되었다. 한편, 유명한 빙겐의 수녀원장 힐데 가르트(Hildegard von Bingen)는 그녀의 저서 “Physica”에서 “뇌전증 환자는 타조 살을 먹음으로써 힘을 얻고 광기를 없앨 수 있다.”라고 기술하기도 하였다[27]. 결국, 뇌전증에 대한 치료법의 부재는 시대 상황에 의하여 종교에 귀의하는 동기가 되고, 종교적인 믿음은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이므로 생명, 질병 그리고 죽음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대하여 절대자에게 의지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학, 미술 등으로 사상과 정보가 전파되는데 뇌전증과 이어진 수호성인은 단연 성 발렌티노가 되었다. 여러 문헌에서 성 발렌티노가 뇌전증과 연결되는 이유로 언어적 유사성을 꼽고 있다[4,9,10,12,28]. 즉, 중세 독일어에서 “Fallen”과 비슷한 발음이 나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성 발렌티노는 뇌전증의 상징이 되었는데, 뇌전증을 일컫는 “St. Valtins Krankheit”라는 병명이 있을 정도였다[10,22]. Kluger와 Kudernatsch [12]는 13세기 이후로 제작된 성 발렌티노에 대한 341개의 삽화와 조각품을 분석하였는데, 유럽 전역에 퍼져 있는 작품들에서 뇌전증과 관련된 묘사가 일관되게 등장한다. 뇌전증의 증상을 보여주는 환자와 그들을 치료하거나 그들을 위하여 기도하는 성 발렌티노가 그려졌다. 환자들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다양하게 그려졌으며, 뇌전증의 증상은 현대 의학에서 말하는 전신강직간대발작을 하여 누워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고(Fig. 2), 뇌전증의 원인인 “악령”이 빠져나가는 모습이 그려지기도 하였다(Fig. 3).
간추리면, 중세의 사람들은 초월적인 존재로부터 도움을 받기 위하여 수도원으로 향하거나 수호성인에게 치료받기를 갈망하였다. 이러한 중세의 수도원 의학을 거치면서 성 발렌티노는 뇌전증과 연관되어 질병을 바탕으로 한 종교적인 토포스(topos)가 되어 그림과 조각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고 찰

사회적, 의학적, 종교적 관점에서 뇌전증과 성 발렌티노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았다. 성 발렌티노는 서기 3세기경에 활동한 성직자이자 순교자로서, 5세기경부터 성인 달력에 등장하는 가톨릭 성인이다. 13세기를 넘어서면서는 뇌전증의 수호성인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이것은 종교와 의학이 교차하는 중세 의학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근대에 이르러 문학가들에 의하여 연인이나 사랑의 수호성인으로 인용되면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밸런타인데이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사랑에 대한 상업 행사를 위한 날로 널리 알려졌다.
의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현대 사회에서도 병 자체가 아니라 병든 사람의 고통을 위로하기 위하여 종교의 존재 의의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당대 의학으로 어찌할 수 없는 병자의 영혼 구제에 관여하는 것은 종교의 사명이었을 것이다. 비록 현대 관점에서 본다면 비과학적이고 종교적으로 편향된 중세 의학이었지만 의학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뇌전증에 대한 미신이나 편견은 분명히 존재한다. 같은 맥락에서, 발전된 현대 의학에도 불구하고 심적으로나 영적으로 의지할 수호성인은 누군가에게는 꼭 필요한 존재일 것이다.
오랫동안 성 발렌티노는 뇌전증을 위한 수호성인으로 뚜렷하게 존재하여 왔지만 의학이 발달한 현대에 이르러서 오히려 우리가 성 발렌티노의 고귀한 상징성을 잊어버린 것이 아닐까. 아무쪼록 본고를 통하여 뇌전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밸런타인데이의 그 흔한 사랑 이야기보다는 뇌전증 환자에게 조금 더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궁극적으로는 뇌전증의 사회적 편견 해소에 작은 도움이 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이 문헌에 인용된 ‘성경’과 교회 문헌의 저작권은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 있으며, 저작권 사용 승인을 받아 수록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Dictionary; [cited 2020 Jan 12]. Available from: URL:https://stdict.korean.go.kr.

2.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online] 2018 Dec 28 [cited 2020 Jan 12]. Available from: URL:http://www.cbck.or.kr/Documents/Catechism.

4. Oruch JB. St. Valentine, chaucer, and spring in february. Speculum 1981;56:534-565.
crossref
5. Kelly HA. Chaucer and the cult of Saint Valentine. Leiden: Lugduni Batavorum, 1986;127.

6. SparkNotes Editors. No fear Hamlet. [online] 2019 Dec 12 [cited 2020 Jan 20]. Available from: URL:https://www.sparknotes.com/nofear/shakespeare/hamlet/page_238/.

7. Chanchreek J, Chanchreek KL, Jain MK. Encyclopaedia of great festivals. New Delhi: Shree Publishers & Distributors, 2007;264.

8. Brock J, Alford A. Bearded gospel men: the epic quest for manliness and godliness. Nashville (TN): Thomas Nelson, 2017;127.

9. Palacios-Sánchez L, Díaz-Galindo LM, Botero-Meneses JS. Saint Valentine: patron of lovers and epilepsy. Repert Med Cir 2017;26:253-255.
crossref
10. Fatovic-Ferencic S, Durrigl MA. The sacred disease and its patron saint. Epilepsy Behav 2001;2:370-373.
crossref pmid
11. Lekka V. The neurological emergence of epilepsy: the national hospital for the paralysed and epileptic (1870-1895). New York City (N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4;26.

12. Kluger G, Kudernatsch V. St. Valentine--patron saint of epilepsy: illustrating the semiology of seizures over the course of six centuries. Epilepsy Behav 2009;14:219-225.
crossref pmid
13. Diocesi di Terni Narni e Amelia. Saint Valentine. [online] 2019 [cited 2020 Jan 14]. Available from: URL:http://www.diocesi.terni.it/diocesi/san-valentino/.

14. Butler A. Butler's lives of the Saints: with reflections for every day in the year.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2012;169.

15. Hartmann Schedel. First English edition of the nuremberg chronicle: being the liber chronicarum of Dr. Hartmann Schedel.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Digital Collections Center [online] 2010 [cited 2020 Jan 14]. Available from: URL:http://digicoll.library.wisc.edu/cgi/t/text/pageviewer-idx?c=nur&cc=nur&idno=nur.001.0002&page=root&talign=nur.001.0004&frm=frameset&seq=287.

16. Boston Catholic Journal. Journal BC; Roman martyrology, complete, february. [online] 2020 [cited 2020 Jan 14]. Available from: URL: http://www.boston-catholic-journal.com/roman-martrylogy-in-english/roman-martyrology-february-in-english.htm.

17. Clark MV. Walking through Rome: a guide to interesting sites in the eternal city. Bloomington (IL): iUniverse, 2013;121.

18. The Christian Broadcasting Network, Inc., David K. Valentine, the real ctory. [online] 2020 [cited 2020 Jan 14]. Available from: URL:https://www1.cbn.com/st-valentine-real-story.

19. Lapidge M. The Roman martyrs: introduction, translations, and commenta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8;431.

20. Ladino LD, Rizvi S, Tellez-Zenteno JF. Epilepsy through the ages: an artistic point of view. Epilepsy Behav 2016;57:255-264.
crossref pmid
21. Magiorkinis E, Sidiropoulou K, Diamantis A. Hallmarks in the history of epilepsy: epilepsy in antiquity. Epilepsy Behav 2010;17:103-108.
crossref pmid
22. Eadie MJ, Bladin PF. A disease once sacred: a history of the medical understanding of epilepsy. Barnet: John Libbey, 2001;111.

23. Temkin O. The falling sickness: a history of epilepsy from the Greeks to the beginnings of modern neurology.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4;60.

24.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Matthew, chapter 17. [online] 2020 [cited 2020 Jan 15]. Available from: URL:http://bible.cbck.or.kr/Knb/Mt/17.

25.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Mark, chapter 9. [online] 2020 [cited 2020 Jan 15]. Available from: URL:http://bible.cbck.or.kr/Knb/Mk/9.

26.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Luke, chapter 9. [online] 2020 [cited 2020 Jan 15]. Available from: URL:http://bible.cbck.or.kr/Knb/Lk/9.

27. Throop P. Hildegard von bingen's physica: the complete English translation of her classic work on health and healing. Rochester (VT): Inner Traditions/Bear, 1998;178.

28. Wikimedia Foundation Inc.. Saint Valentine. [online] 2020 [cited 2020 Jan 15]. Available from: URL:https://en.wikipedia.org/wiki/Saint_Valentine.

29. National Gallery of Art. Saint Valentine patron of epileptics: woodcut, hand-colored in red lake, green, yellow, rose, and tan sheet. [online] 2013 [cited 2020 Jan 14]. Available from:URL:https://www.nga.gov/ collection/art-object-page.3846.html.

30. Wikimedia Commons. Beck L. Heiliger Valentin. Veste Coburg, Germany. [online] 2012 Nov 25 [cited 2020 Jan 15]. Available from: URL: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Leonhard_Beck_-_Heiliger_Valentin_(Veste_Coburg).jpg.

31. Marchini G. Ceiling fresco. Valentine Chapel. [online] 2010 Sep 26 [cited 2020 Jan 15]. Available from: URL:https://eskimue-panorama.de/panorama.php?pkey=sj3658T19952&titel=Valentinikapelle%20Unterleiterbach.

Figure 1.
Saint Valentine in the sixth chapter of Nuremberg chronicle (upper right). It was published in Latin in Nuremberg on July 12, 1493 and translated and published in German on December 23 of the same year. This is a German translation version.[15]
jkna-38-2-111f1.jpg
Figure 2.
(A) Saint Valentine patron of epileptics. It was exhibited in: "The Origins of European Printmaking: 15th Century Woodcuts and Their Public", Germanisches Nationalmuseum, Nuremberg, 2005-2006, No. 98.[29] (B) Saint Valentine. Saint Velentine healing an epileptic. This is representative of “Saint Valentine” in Wikipedia, currently.[28,30]
jkna-38-2-111f2.jpg
Figure 3.
Saint Valentine and two infants with epilepsy. This is a deckenmalerei over the altar in the Valentine's Chapel in Unterleiterbach. Blessed by Valentine, the evil spirits are leaving from the infant (red arrow).[31]
jkna-38-2-111f3.jpg
Table.
Ophelia’s song of the play “The Tragedy of Hamlet, Prince of Denmark” (act 4, scene 5) [6]
Original text Modern text
Tomorrow is Saint Valentine’s day Tomorrow is St. Valentine’s day
All in the morning betime And early in the morning
And I a maid at your window I’m a girl below your window
To be your Valentine Waiting to be your Valentine
Then up he rose, and donned his clothes Then he got up and put on his clothes
And dupped the chamber door And opened the door to his room
Let in the maid that out a maid He let in the girl, and when she left
Never departed more She wasn’t a virgin anymore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ZIP 03163) #1111, Daeil Bldg, 12, Insadong-gil, Jongno-gu, Seoul, Korea
Tel: +82-2-737-6530    Fax: +82-2-737-6531    E-mail: jkna@neuro.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