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증례의 환자는 우측 상지에서 시작하여 전신으로 진행하는 근 위약과 위축이 있었고, 우측 상지에서 깊은힘줄반사의 항진이 관찰되어 국소 부위의 위운동신경세포 징후를 보였다. 침근전도검사에서도 광범위한 탈신경전위가 확인되어 운동신경세포질환에 합당하였다. 혈액검사와 뇌/척수영상검사에서 이상은 없었고, 유전자검사로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유전질환인 척수근위축증과 숨뇌척수근위축증을 배제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El Escorial 진단기준에 따라 임상추정검사지지(clinically probable - laboratory supported) ALS로 진단하였다[
2]. 본 환자는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의 기간이 10년으로 ALS 환자의 평균 유병 기간(3-5년)에 비해 비교적 긴 경과를 보였다. 산발ALS의 경우 호발연령은 58-63세이고 가족성ALS의 경우 47-52세로 상대적으로 발병연령이 낮다[
3]. 환자는 27세의 어린 나이에 발병하였고 긴 경과를 보여 가족성 ALS 가능성도 염두에 두었으나, 가족력이 없었고, 사망 후 실시한 유전자검사에서 ALS관련 돌연변이는 없어서 산발ALS에 해당한다.
ALS의 주된 병리 소견은 뇌, 척수의 운동신경세포와 척수가쪽 기둥, 앞쪽기둥의 피질척수로의 신경퇴행이다. 즉, 대뇌피질의 베츠세포, 뇌줄기, 척수앞뿔의 운동신경세포 수와 크기가 감소하고, 공포형성과 해면화를 동반한다. 별아교세포와 미세아교세포가 증가하고 특징적인 호산구신경세포봉입소체인 Bunina소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척수 가쪽과 앞쪽기둥 피질척수로에서도 축삭의 소실을 확인할 수 있다[
4]. 분자병리학적으로는 산발성인지, 가족성인지 그리고 가족성이라도 어떤 유전자변이를 가지는지에 따라 다른 소견을 보인다. ALS의 약 90%에 해당하는 산발성의 경우, 대부분에서 운동신경세포 세포질 내에 인산화TDP-43염색에서 양성을 보이는 비정상TDP-43 침착이 확인되는데, 이를 ALS-TDP병리로 분류한다[
4]. TDP-43은 41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핵 단백질로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자 발현 조절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긴다[
5]. 일부 가족성 ALS 환자의 경우에도 비정상TDP-43신경세포질봉입소체가 관찰되었으나
SOD1 유전자변이 가족성ALS에서는 TDP-43염색에 음성인 SOD1단백의 침착이,
FUS 유전자 변이와 관련된 경우
FUS 양성이면서 TDP-43음성인 봉입소체가 발견된다[
4]. 전체 가족성 ALS의 약 50%를 차지하는
C9orf72 유전자 반복확장이 있을 경우에는 TDP신경세포질봉입소체 외에도, repeat-associated non-ATG (RAN)의 전사과정에서 만들어진 다이펩타이드반복단백질(dipeptide repeat proteins)과 RNA중심(foci)이 특징적으로 확인된다[
4]. ALS-TDP병리는 해부학적 분포에 따라 4단계로 나눈다[
6]. 1단계는 운동피질, 뇌줄기의 XII, VII, V번 운동신경핵, 척수의 운동신경을 침범한 경우다. 중앙 전두이랑, 뇌줄기의 그물체, 전소뇌핵, 적핵까지 침범할 경우 2단계로, 전전두엽피질, 중심뒤피질, 줄무늬체, 바닥핵까지 침범하는 경우 3단계로 한다. 측두엽과 해마까지 침범하면 4단계가 된다. 환자는 척수의 퇴행 변화는 굉장히 심하였으나, 대뇌운동피질(중심앞이랑)의 신경퇴행 변화는 심하지 않았다. 하지만 위운동신경세포에 해당하는 중심앞이랑의 운동신경세포와 아래운동신경세포에 해당하는 척수앞뿔의 운동신경세포 모두에서, 비정상TDP-43신경세포질봉입소체가 확인되어 ALS-TDP병리로 확진할 수 있었고, 해마까지 침범하여 4단계로 진단하였다. ALS-TDP병리단계와 임상증상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ALS-TDP병리는 해부학적 분포에서 전두측두엽변성(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TDP병리와 차이가 있다. 즉, ALS-TDP병리에서 비정상TDP-43신경세포질봉입소체는 운동피질, 척수, 바닥핵에 현저히 존재하는 반면 FTLD-TDP는 전두측두엽 피질에 많이 분포한다.
산발근위축측삭경화증 환자의 부검 증례가 국내에 한 차례 보고되었으나 면역조직화학염색은 시행하지 않아 TDP-43신경세포질봉입소체 동반 유무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다[
7]. 전두측두엽변성-TDP B형의 병리가 확인된 전두측두엽치매-운동신경세포질환의 부검 증례도 본 저자들이 보고한 바 있으나[
8], ALS-TDP병리에 의한 산발성 ALS의 국내 보고는 본 증례가 최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