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Neurol Assoc > Volume 37(3); 2019 > Article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중독으로 인한 가역적 뇌량팽대병변
기저질환이 없는 43세 남자가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이 함유된 제초제를 마신 후 발생한 의식 혼미로 응급실에 왔다. 입원 후 2-3일에 의식 혼미가 지속되었고, 수차례 전신강직간대발작이 있었다. 입원 4일째 시행한 뇌 자기공명영상 확산강조영상과 액체감쇠역전회복영상에서 뇌량팽대에 저명한 고신호강도 병변이 보였다(Fig. 1). 이 병변은 조영증강되지 않았다. 뇌파검사에서는 지속서파가 전반적으로 있었다. 환자는 투석 및 수액 공급 등 내과적 치료 후 회복하여 퇴원하였다. 4달 뒤 추적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이전에 보였던 병변은 사라졌다(Fig. 2).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중독으로 뇌량팽대병변 외에도 해마, 속섬유막을 포함한 피질척수로, 소뇌각 등에 병변이 발생할 수 있다[1,2]. 이는 글루탐산의 구조유사체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에 의한 흥분독성(excitotoxicity)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REFERENCES

1. Kim JH, Yu I, Kim YD, Na SJ, Lee KO, Yoon B. Encephalopathy after glufosinate ammonium intoxication. J Korean Neurol Assoc 2014;32:113-116.

2. Jeong TO, Yoon JC, Lee JB, Jin YH, Hwang SB. Reversible splenial lesion syndrome (RESLES) following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J Neuroimaging 2015;25:1050-1052.
crossref pmid

Figure 1.
(A) Diffusion-weighted, (B)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 and (C)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s reveal high signal intensity with diffusion restriction at the splenium of the corpus callosum.
jkna-37-3-312f1.jpg
Figure 2.
Follow-up axial images, (A) four months later, show complete resolution of the splenial lesion on diffusion-weighted image, (B)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 and (C)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
jkna-37-3-312f2.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ZIP 03163) #1111, Daeil Bldg, 12, Insadong-gil, Jongno-gu, Seoul, Korea
Tel: +82-2-737-6530    Fax: +82-2-737-6531    E-mail: jkna@neuro.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