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급성연합변성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Subacute Combined degenera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Neurol Assoc. 2015;33(1):73-7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February 1, 2015
doi : http://dx.doi.org/10.17340/jkna.2015.1.22
Department of Neurology, Chuncheon Sacred Heart Hospital, Chuncheon, Korea
오학주, 최휘철, 손종희, 장민욱, 김철호
춘천성심병원 신경과
Address for correspondence: Chulho Kim, MD Department of Neurology, Chuncheon Sacred Heart Hospital, 77 Sakju-ro, Chuncheon 200-704, Korea Tel: +82-33-240-5255 Fax: +82-33-240-1338 E-mail: gumdol52@naver.com
received : September 4, 2014 , rev-recd : October 15, 2014 , accepted : October 15, 2014 .

71세 여자가 2개월 전부터 시작된 보행장애와 최근에 발생한 양측 상하지의 감각저하를 주 증상으로 병원에 왔다. 19년 전 당뇨로 진단받고 약물 복용 중이었고, 11년 전 조기위암으로 대부분위절제술을 받았다. 신경학적진찰에서 감각실조 외에 하지의 고유감각저하가 관찰되어, 아급성연합변성으로 진단하고 비타민 B12를 근육주사하였다. 근육주사 전 시행한 비타민 B12는 81 pg/mL로 저하되어 있었다. 척추 시상면 자기공명영상에서 경수 및 흉수의 뒤기둥을 따라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가 관찰되었다. 축방향 T2강조영상 및 확산강조영상에서는 뒤기둥 이외에도 가쪽척수시상로에서도 고신호강도가 확인되었다(Fig. A,B). 해당 병변은 겉보기확산계수지도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여(Fig. C,D) 세포독성뇌부종을 동반한 Waller변성으로 판단하였다. 현재까지 아급성연합변성의 임상소견은 잘 알려져 있으나[1,2], 확산강조영상을 포함한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국내보고가 없어 보고하고자 한다.

Figure.

MR image. T2 weighted sagittal (A) and axial (B) image showed a long extened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along the posterior column and the lateral spinothalamic tract. Diffusion (C) image showed a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mage showed a low signal intensity lesion at the corresponding area.

References

1. Healton EB, Savage DG, Brust JC, Garrett TJ, Lindenbaum J. Neurologic aspects of cobalamin deficiency. Medicine (Baltimore) 1991;70:229–245.
2. Bae HG, Lee HB, Lee KW.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f subacute combined degeneration. J Korean Neurol Assoc 1997;15:1085–109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MR image. T2 weighted sagittal (A) and axial (B) image showed a long extened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along the posterior column and the lateral spinothalamic tract. Diffusion (C) image showed a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mage showed a low signal intensity lesion at the corresponding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