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Search

Close

신겜계 쀑환자의 의식 평가 방법

Approaches to Consciousness Assessment in Neurocritically Ill Patients

Dong-Wan Kang, MD, MSca,b,c, Tae Jung Kim, MD, PhDd,e

신겜계 쀑환자의 의식 평가 방법

강동완a,b,c, 김태정d,e
Received February 28, 2024;       Revised April 3, 2024;       Accepted April 3, 2024;
ABSTRACT
The majority of neurocritically ill patients have disorders of consciousness. Both level and content of consciousness should be assessed repeatedly throughout the course of patient care.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definition and diagnostic criteria for disorders of consciousness, and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standardized neurobehavioral assessment tools as methods of assessing consciousness. Next, we will discuss neurophysiological and neuroimaging tests as tools for assessing consciousness: automated quantitative pupillometry, electroencephalogram, evoked potentials, brain imag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biomarkers. We discuss the clinical utility of each assessment tool and the importance of a multimodal approach in the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tication of disorders of consciousness.
서 론
서 론
신겜계 쀑환자는 뇌졞쀑, 왞상 뇌손상, 감엌, 대사장애, 앜묌의 영향 등윌로 닀양한 수쀀의 의식장애륌 동반한닀. 의식 장애의 정도륌 정확히 진닚하고 평가하는 것에서부터 진료가 시작된닀. 의식장애의 평가는 닚순히 환자의 의식 수쀀읎 유지되는지 여부륌 넘얎서 읞지적, 감각적 귞늬고 욎동적 반응, 슉 의식 낎용을 포ꎄ적윌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닀. 의식 수쀀곌 낎용을 정확히 파악핎알만 의식장애의 원읞 파악, 치료 전략 수늜,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 등 진료의 각 닚계에 대한 계획을 정확히 ì„žìšž 수 있닀. 또한 의식은 진료의 전 곌정에서 반복적윌로 평가되얎알 한닀.
볞 종섀에서는 뚌저 의식장애(disorders of consciousness)의 정의와 진닚 Ʞ쀀에 대핮 Ʞ술하고자 한닀. 닀음윌로 의식 평가 방법윌로썚의 신겜계진찰 및 표쀀화된 신겜행동 평가 도구에 대핮 Ʞ술한닀. 후반부에서는 의식 평가 도구로썚의 뇌신겜계 검사읞 자동 동공잡정계, 뇌파, 유발전위, 뇌영상, Ʞ능적 귌적왞선분ꎑꞰ(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생묌표지자에 대핮 Ʞ술하고자 한닀.
볞 묞
볞 묞
1. 의식장애의 분류
1. 의식장애의 분류

1) 의식 수쀀곌 의식 ë‚Žìš©

1) 의식 수쀀곌 의식 ë‚Žìš©

의식장애는 의식 수쀀의 장애와 의식 낎용의 장애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닀(Fig.). 의식의 수쀀은 각성 상태(arousal)로 왞부 자극에 대한 반응의 정도에 따띌 혌수(coma), 혌믞(stupor), êž°ë©Ž(drowsy), 각성(alert)윌로 크게 분류한닀. 의식 낎용은 왞부 자극에 대한 읞식읎며 읎는 자Ʞ 자신에 대한 읞식, 지낚력뿐만 아니띌 욎동, 감각, 감정 상태 등을 종합적윌로 포핚한닀. 의식 낎용읎 졎재하렀멎 의식 수쀀읎 음정 수쀀 읎상 유지되얎알 한닀. 한펾 의식 수쀀은 유지되지만 의식 낎용은 유지되지 않는 여러 상태듀읎 있닀. 신첎질환읎 있는 환자가 갑자Ʞ 혌동, 지낚력장애, 죌의력 결핍 등 의식 낎용의 변화륌 볎읎는 겜우 ꞉성 뇌병슝(acute encephalopathy)읎띌고 통칭하며 섬망읎 대표적읞 ꞉성 뇌병슝읎닀[1].

2) 죌요 의식장애

2) 죌요 의식장애

믞국신겜곌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AN)와 유럜신겜곌학회(European Academy of Neurology) 가읎드띌읞에서는 죌요 의식 장애륌 혌수(coma), 식묌 상태(vegetative state, VS) 또는 묎반응 각성 상태(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UWS), 최소 의식 상태(minimally conscious state, MCS), 최소 의식 상태에서 ë²—ì–Žë‚š(emergence from MCS, eMCS)윌로 분류하고 있닀[2,3].
혌수는 ì–Žë– í•œ 명령 수행(following command)도 가능하지 않고 의믞 있는 발화나 동작, 수의적읞 움직임, 눈맞춀 등읎 없는 의식장애의 가장 극닚적읞 형태읎닀. 한펾 혌수로 진닚하Ʞ 위핎서는 진정제 또는 신겜귌찚닚제 등읎 배제된 상태여알 한닀. 또 의식 수쀀곌 낎용읎 유지되지만 마비로 읞핎 움직읎지 못하는 상태읞 감ꞈ슝후군(locked-in syndrome), 의식 수쀀읎 정상적읎고 마비도 없윌나 동Ʞ가 결여된 상태읞 의지상싀슝(abulia), 묎욎동묎얞슝(akinetic mutism) 등곌의 감별읎 반드시 필요하닀.
VS/UWS는 수멎 각성 죌Ʞ가 유지되고 시상하부 및 뇌쀄Ʞ의 자윚신겜Ʞ능, 대소변Ʞ능읎 유지되얎 있고 음부 뇌신겜반사 및 척수반사가 볎졎되얎 있윌나 자신 또는 환겜에 대한 읞식읎 결여되얎 있고 자극에 대한 의믞 있는 자발적 움직임곌 얞얎Ʞ능읎 없는 상태읎닀. 비왞상 뇌손상 환자에서 3개월 읎상, 왞상 뇌손상 환자에서 12개월 읎상 VS/UWS가 지속될 겜우 만성 식묌 상태(chronic VS)로 분류한닀[3].
MCS는 자신읎나 환겜에 대한 읞식읎 최소 수쀀임에도 불구하고 명확하고 지속적읞 읞식 징후가 확읞되는 상태읎닀. 닚순한 명령 수행 가능(following simple commands), 정답 여부에 상ꎀ없읎 몞짓읎나 구두로 예/아니였 응답 가능(gestural or verbal yes/no responses regardless of accuracy), 읎핎할 수 있는 말을 핹(intelligible verbalization), 의도적읞 행동을 볎임(purposeful behavior) 쀑 한 가지 읎상읎 확읞될 때 진닚할 수 있닀[4]. MCS는 얞얎륌 읎핎하거나 표현할 수 있는 MCS+와 비얞얎적 의식 징후만 확읞되는 MCS로 구분할 수 있닀[5]. MCS-의 만성 Ʞ쀀은 VS와 동음하게 비 왞상 뇌손상 3개월, 왞상 뇌손상 12개월읎며 MCS+의 만성 Ʞ쀀은 비왞상 뇌손상 9개월, 왞상 뇌손상 18개월 읎상읎닀. MCS 환자가 믿을 수 있는 반응을 음ꎀ성 있게 볎읎는 겜우 eMCS로 진닚할 수 있닀[4]. eMCS로 진닚하Ʞ 위핎서는 연속된 두 번의 평가에서 6개의 상황 지낚력 질묞에 몚두 정확한 예/아니였 대답을 하고(Ʞ능적읞 의사소통) 두 가지 닀륞 도구(빗, 컵, 펜 등)의 Ʞ능적읞 사용읎 확읞되얎알 한닀.
읞지욎동핎늬(cognitive motor dissociation, CMD)는 음반적읞 신겜계진찰로 의식 징후륌 발견하지 못하는 혌수 또는 VS/UWS거나 비얞얎적 의식 징후만 확읞읎 가능한 MCS더띌도 Ʞ능성 자Ʞ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또는 뇌파 검사 등을 하멎서 곌제륌 죌멎 명령 수행에 부합하는 소견읎 확읞되는 상태륌 말한닀[6]. 아꞉성 또는 만성 의식장애 환자의 15-20%에서 CMD가 확읞될 수 있닀[7].
2. 쀑환자싀에서의 의식 평가
2. 쀑환자싀에서의 의식 평가

1) 병력 청췚와 신겜계진찰, 표쀀화된 신겜행동 평가

1) 병력 청췚와 신겜계진찰, 표쀀화된 신겜행동 평가

최쎈로 환자륌 평가할 때 발생 시점, 진행 겜곌, 곌거력, 투앜력을 포핚한 상섞한 병력을 청췚하는 것은 가장 Ʞ볞적읎멎서도 쀑요한 곌정읎며 읎후 신겜계진찰을 시행한닀. Ꞁ래슀고 혌수 척도(Glasgow coma scale, GCS)가 의식 상태 평가에 여전히 가장 널늬 쓰읎는 간펞한 도구읎며[8] 최귌에는 full outline of unresponsiveness (FOUR) score도 유용하게 사용된닀[9]. FOUR score는 눈 반응, 욎동 반응, 뇌쀄Ʞ반사, 혞흡의 ë„€ 가지 칎테고늬로 구성되얎 있윌며 각 항목은 0-4점(쎝 16점)윌로 구성된닀. FOUR score는 GCS와 비교하여 뇌쀄Ʞ반사와 혞흡 양상을 추가로 판당할 수 있고 Ʞꎀ 삜ꎀ읎 되얎 있는 환자듀도 평가할 수 있닀는 장점읎 있닀. 하지만 읎듀은 간펞한 것에 비핎 VS/UWS와 MCS륌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첎적읞 도구는 아니닀. 의식장애륌 분류별로 진닚하Ʞ 위한 표쀀화된 신겜행동 평가(neurobehavioral assessment) 도구듀읎 개발되얎 있닀(Table).
Coma recovery scale-revised (CRS-R)는 의식장애 분류에 있얎 가장 잘 검슝된 평가 도구 쀑 하나로 높은 정확도로 MCS륌 진닚할 수 있닀[10]. CRS-R은 청각(auditory), 시각(visual), 욎동(motor), 입욎동/ì–žì–Ž(oromotor/verbal), 의사소통(communication), 각성(arousal)의 6개 subscale로 읎룚얎젞 있닀[11]. 청각Ʞ능은 사묌의 읎늄을 불러죌멎서 쳐닀볎거나 잡윌띌고 하는 명령(사묌 ꎀ렚 명령)에 대한 반응, 사묌곌 ꎀ렚되지 않은 구두 명령에 대한 반응, 소늬가 나는 쪜윌로 뚞늬나 눈의 움직임, 큰 소늬에 놀띌는 반응을 확읞하고 0-4점윌로 평가한닀. 시각Ʞ능은 청각Ʞ능곌 동음한 명령에 대한 반응, 묌첎륌 볎여죌며 팔닀늬로 걎드늬띌는 명령에 대한 반응, 손거욞곌 손전등을 여러 각도로 볎여쀄 때 따띌 볎는 반응, 시각적 위협에 놀띌는 반응을 확읞하고 0-5점윌로 평가한닀. 욎동Ʞ능은 2개의 음상적읞 묌첎(빗, 컵 등)륌 사용하띌는 지시에 대한 Ʞ능적읞 사용, 윔륌 ꞁ거나 칚상 난간을 잡는 등의 자동적 욎동 반응, 검사자가 손을 흔드는 등의 익숙한 동작을 볎여죌며 귞대로 시행하는지 유묎, 공을 손등 위로 굎렞을 때 읎륌 잘 닀룚는지 유묎, 통슝에 대한 욎동 반응(위치 추적, 회플, 신전 또는 굎곡)을 확읞하고 0-6점윌로 평가한닀. 입욎동/얞얎Ʞ능은 읎늄, 죌소 등을 묌얎볎는 청각적읞 ì–žì–Ž 유도 또는 묌첎륌 볎여죌며 묎엇읞지 묌얎볎는 시각적읞 ì–žì–Ž 유도에 대한 ì–žì–Ž 구사, 반사적읎지 않은 구강욎동 또는 자발적 발성, 섀압자에 대한 반사적 구강욎동을 확읞하고 0-3점윌로 평가한닀. 의사소통은 귀 또는 윔륌 만지거나 만지지 않윌멎서 “낎가 지ꞈ 귀(또는 윔)륌 만지고 있나요?”띌고 묌을 때의 반응, 손댉을 치거나 치지 않윌멎서 “낎가 지ꞈ 손댉을 치고 있나요?”띌고 묌을 때의 반응, 슉 상황적 지낚력(situational orientation)을 확읞한닀. 읎것에 정확하게 반응하는지, 정확하지는 않더띌도 명확히 식별되는 반응을 볎읎는지 유묎에 따띌 0-2점윌로 평가한닀. 각성은 얞얎나 몞짓윌로 자극핎서 나타나는 행동 반응에 집쀑하는지, 자극 없읎 평가 êž°ê°„ 낮낮 눈을 뜚는지, 자극에 눈을 뜚는지 또는 눈을 뜚지 못하는지에 따띌 0-3점윌로 평가한닀. 평가표에 각 항목별 점수에 대한 상섞한 프로토윜곌 Ʞ쀀읎 Ʞ술되얎 있닀. VS는 청각 2점 읎하, 시각 1점 읎하, 욎동 2점 읎하, 입욎동/ì–žì–Ž 2점 읎하, 의사소통 0점, 각성 2점 읎하륌 몚두 만족핎알 진닚할 수 있윌며 한 항목읎띌도 Ʞ쀀볎닀 높은 점수륌 획득하멎 MCS로 진닚할 수 있닀.
2018년 AAN 진료지칚에서 CRS-R뿐만 아니띌, Wessex head injury matrix (WHIM), sensory modality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technique (SMART), Western neuro sensory stimulation protocol (WNSSP), disorders of consciousness scale, sensory stimulation assessment measure (SSIM)륌 표쀀화된 신겜행동 평가 척도로 추천했닀[3]. 읎같은 평가 도구듀을 통핎 신겜계 쀑환자의 의식 수쀀을 더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윌며 읎륌 Ʞ반윌로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늜할 수 있닀.

2) 의식 평가 도구로서의 뇌신겜계 검사

2) 의식 평가 도구로서의 뇌신겜계 검사

(1) 자동 동공잡정계(automated quantitative pupillometry)
(1) 자동 동공잡정계(automated quantitative pupillometry)
동공반사는 가장 쉜고 빠륎게 평가할 수 있는 뇌간반사읎자 병변 국소화, 뇌압 상승, 뇌탈출 등의 상태 변화 몚니터링 등의 목적윌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닀. 하지만 정성적읞 동공반사 검진윌로는 믞섞한 찚읎륌 확읞하Ʞ 얎렀우며 검사자에 따륞 찚읎가 있닀[12]. 자동 동공잡정계로 동공의 최대 및 최소 크Ʞ, ꎑ원 조사 후 동공 수축 시작까지의 시간, 동공 수축 속도, 동공반사 후의 동공 확장 속도 등을 정량할 수 있닀[13]. 동공반사 후 동공 크Ʞ의 변화가 15% 읎상읎멎 정상, 15% 믞만읎멎 sluggish, 0%ë©Ž 반응읎 없닀고 핎석한닀. 정상적읞 동공 수축 속도는 1.0-1.5 mm/s 읎상읎닀. 자동 동공잡정계의 ìž¡ì • 결곌는 종합되얎 하나의 수치로 제공되Ʞ도 하며 대표적윌로 0부터 5까지 범위의 neurological pupil index (NPi)띌는 점수가 널늬 사용된닀[14]. NPi 3.0 읎상은 정상 범위 또는 brisk, 3.0 믞만은 비정상 또는 sluggish륌 의믞한닀[15]. 동공 반응읎 전혀 없거나 동공 크Ʞ가 ìž¡ì • 한도볎닀 더 작게(0.03 mm) 변하는 겜우 귞늬고 비전형적읞 반응을 볎음 겜우에는 0윌로 잡정된닀[15]. 자동 동공잡정계는 검사자 간 또는 검사자 낮 변동읎 적고 동공반사륌 신뢰도 높게 정량할 수 있Ʞ 때묞에 여러 연구륌 통핎 임상적 유용성읎 알렀지고 있닀. 심정지 후 환자에서 동공 크Ʞ 변화 13% 믞만, 동공 수축 속도 0.23 mm/s 믞만, NPi 2 읎하음 때 불량한 예후(cerebral performance categories 3-5)와 연ꎀ된닀고 알렀젞 있닀[16-18]. 뇌겜색 환자에서 NPi 2.8-3.0 믞만윌로 낮을 겜우 정쀑선 변화(midline shift), 뇌부종, 신겜계 악화와 연ꎀ된닀[19,20]. 또한 뇌전슝지속상태, 간성 혌수, 섬망 환자에서도 동공반사 읎상읎 확읞된닀[21,22].
(2)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2)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뇌파륌 읎용하여 의사소통읎 불가능한 환자의 뇌 활성도륌 파악핚윌로썚 의식장애 환자륌 평가할 수 있고 의식장애 환자의 분류, 예후 예잡 등에 활용할 수 있닀. 뇌파 반응성(EEG reactivity)은 왞부 자극에 의핎 뇌파의 늬듬읎 변하는 것을 의믞하며 CRS-R 점수가 높은 환자에서 반응성읎 더 높은 겜향을 볎읞닀[23]. 시각 자극곌 청각 자극에 대한 반응성은 MCS와 VS/UWS륌 구분하는 데 유용하닀.
심정지, 팚혈슝 등에 의한 의식장애 환자에서 특정한 뇌파 팹턮, 예륌 듀멎 삌상파(triphasic wave), 억제(suppressive background), 돌발파 억제(burst-suppression background), 죌Ʞ 뇌전슝몚양방전(periodic epileptiform discharges), 비겜렚 뇌전슝지속상태(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등읎 확읞될 때 예후가 좋지 않닀는 것은 잘 알렀젞 있닀[24]. 1988년 Synek읎 의식 장애 환자에서 뇌파륌 특정한 팚턎곌 반응성에 따띌 5개 등꞉윌로 나눈 혌수 분류(coma classification)륌 제안하였닀[25]. Grade 1은 규칙적읞 알파(regular alpha)와 간헐적 섞타(some theta), grade 2는 두드러진 섞타(predominant theta), grade 3는 덾타/방추파(delta/spindles), grade 4는 돌발파 억제, 알파 혌수, 섞타 혌수, 저진폭 덾타(low voltage delta), grade 5는 2 µV 믞만의 등전압 뇌파(isoelectric EEG)음 때로 분류하였닀. 귞늬고 grade 2와 3에서는 반응성읎 있는지에 따띌 섞부적윌로 등꞉을 나누었닀. 읎후 1997년에 Young읎 Synek 분류륌 수정하여 검사자 간 신뢰도가 더 높은 분류법을 제안하였닀[26]. Young은 뇌파의 팚턎을 크게 6개 등꞉윌로 분류하였고 뇌파의 반응성을 더 강조하였닀. Young 분류가 Synek 분류에 비핎 예후 예잡을 더 잘 하는 겜향을 볎읞닀[27].
한펾 읎러한 팚턎을 확읞하는 것은 육안 판독에 의졎하며 팚턎의 유묎에 따띌 뇌파륌 읎분법적윌로 구분하는 것은 평가자 간 변읎가 졎재하고 닀양하게 변하는 뇌파의 양상을 핎석하거나 넀튞워크 간의 연결성을 분석하는 등의 평가륌 하Ʞ는 얎렵닀. 읎러한 부분을 핎결하Ʞ 위핎 최귌에는 뇌파륌 정량적윌로 분석하는 정량뇌파(quantitative EEG)가 의식장애 환자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닀[6]. 뇌파에서 슀펙튞럌 파워(spectral power)륌 확읞하였을 때 의식 수쀀읎 낮을수록 덾타 활성(1.5-3.5 Hz)읎 늘얎나고 알파 활성(7.5-12.5 Hz)읎 쀄얎든닀[28]. 섞타 활성(3.5-7.5 Hz) 역시 VS/UWS와 MCS에서 정상 대조군볎닀 높게 확읞된닀. 저죌파수(덾타/섞타)와 고죌파수(알파/베타)의 비윚을 활용할 수도 있윌며 VS/UWS에서 MCS에 비핎 읎 비윚읎 높게 확읞된닀[29]. Time domain 분석에서 뇌파의 복잡한 정도륌 의믞하는 approximate entropy가 VS/UWS, MCS, 정상 대조군 순윌로 낮게 확읞되며 읎는 예후와 연ꎀ된닀[30,31]. 또한 뇌파의 Ʞ능적 연결성(functional connectivity)을 확읞핚윌로썚 각 뇌 부위별로 얌마나 강한 연결성읎 있는지 확읞할 수 있윌며 VS/UWS, MCS, 정상 대조군 순윌로 연결성읎 강하게 확읞된닀[32-34].
뇌파로 CMD륌 확읞할 수 있닀. Claassen 등[35]은 명령 수행에 반응읎 없는 닀양한 원읞의 ꞉성 뇌손상 환자듀에서 손을 쥐었닀 펎띌는 명령을 수행하는 동안의 뇌파륌 Ʞ록하였고 Ʞ계 학습(machine learning)윌로 뇌파의 반응성을 평가하였닀. 쎝 104명의 환자 쀑 16명(15%)에서 뇌파 반응읎 확읞되얎 CMD 상태임읎 확읞되었는데 뇌파 반응읎 있었던 환자에서 12개월짞에 하룚 8시간 읎상 Ʞ능적윌로 독늜적읞 상태(Glasgow outcome scale-extended≥4)가 더 많읎 달성되었닀(44% vs. 14%; odds ratio, 4.6; 95% confidence interval, 1.2-17.1).
(3)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3)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의식장애 환자에서 대표적윌로 확읞하는 유발전위는 심정지륌 포핚한 저산소 허혈뇌손상 환자의 예후 예잡을 위핎 첎성감각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륌 확읞하는 것읎닀[36]. 환자의 시상플질 연결(thalamocortical connection)을 확읞하Ʞ 위핎 손목의 정쀑신겜을 자극하여 두정부에서 N20 파형의 졎재 여부륌 확읞한닀[37]. N20읎 양쪜에서 몚두 확읞되지 않을 겜우 심정지 환자의 불량한 예후륌 90% 읎상의 양성 예잡도로 예잡할 수 있닀[38]. 심정지 환자뿐만 아니띌 지죌막하출혈, 왞상 뇌손상, 뇌졞쀑 등의 ꞉성 뇌손상 환자에서도 N20은 불량한 예후륌 높은 특읎도로 예잡한닀[39].
사걎유발전위(event-related potential)는 왞부의 특정 자극에 의핎 유발되는 뇌파의 변화륌 말하며 특정 자극읎나 읞지 곌정곌 연ꎀ된 닀양한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닀[40,41]. 읎 쀑 P300은 지각적 결정(perceptual decision)곌 ꎀ렚 있닀고 알렀진 파형읎며 oddball paradigm읎띌는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닀[42]. 규칙적읎고 빈번한 비표적 소늬 자극(nontarget stimuli)곌 ê·ž 사읎에 불규칙적읎고 드묞 표적 소늬 자극(target stimuli)을 죌멎서 표적 자극읎 제시되는 숫자륌 섞거나 표적 자극에 반응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닀. 읎때 표적 자극의 300 ms 죌변에서 큰 진폭의 P300 파형읎 유발된닀. 특히 의식장애 환자에서는 소늬 자극을 순음(pure tone)윌로 사용하는 것볎닀 환자의 읎늄곌 같읎 의믞가 있는 소늬 자극을 사용할 때 더 높은 P300 신혞가 유발된닀[43,44]. MCS 환자에서 환자의 읎늄 또는 특정한 닀륞 읎늄을 섞도록 했을 때 닚순히 읎늄을 듀을 때에 비핎 P300 파형읎 높아지는 것읎 확읞되었닀[45]. 반멎 VS/UWS 환자에서는 읎늄을 섞도록 했을 때와 듣게 했을 때 P300 파형 찚읎가 없었닀. 또한 음악 배겜 사읎에 환자의 읎늄을 부륌 때 P300읎 확읞되는 환자에서 귞렇지 않을 때볎닀 예후가 좋은 것읎 확읞되었닀[46].
(4) 뇌영상 검사(brain imaging)
(4) 뇌영상 검사(brain imaging)
뇌영상은 의식 장애 환자의 쎈Ʞ 평가에 필수적읎며 computed tomography (CT)와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윌로 의식 장애의 원읞읎 되는 병변 여부륌 판당할 수 있닀. 상행 각성계륌 구성하는 상부뇌쀄Ʞ, 시상, 시상하부, ì–‘ìž¡ 대뇌에 손상읎 생Ꞟ 겜우 의식장애가 발생할 수 있닀. 하지만 구조적읞 뇌 병변읎 없읎 의식장애가 음얎나는 겜우가 뇌 병변읎 있는 겜우볎닀 더 많윌므로 전통적읞 CT나 MRI만윌로는 의식장애륌 분류할 수 없윌며 원읞읎나 예후륌 정확히 평가하Ʞ 얎렵닀. 따띌서 병력 ì²­ì·š 및 신첎 검진 소견, 국소 신겜학적 결손 여부 등을 종합적윌로 고렀하여 뇌 병변읎 의심되는 겜우 뇌영상 시행을 고렀핎알 한닀. 왞상 뇌손상음 겜우 6-8죌에 MRI에서 뇌듀볎, 뇌쀄Ʞ 손상, 대뇌부챗삎영역 손상 여부륌 확읞하는 것읎 12개월 의식 회복 여부륌 예잡하는 데 볎조적윌로 활용될 수 있닀[3]. 심정지 환자에서는 겉볎Ʞ확산계수(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가 650×10-6 mm2 믞만읞 범위가 10% 읎상음 겜우 불량한 예후와 연ꎀ된닀[47].
fMRI 또는 18fluorodeoxyglucose-양전자방출닚잵쎬영(18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18FDG-PET)을 활용하여 뇌의 활동을 시각화하고 정량핚윌로썚 의식 장애륌 평가할 수 있닀. CRS-R을 읎용하여 VS/UWS로 진닚된 환자의 음부에서 낱말 ì„žêž° 수행(word-counting task)곌 incorrect-minus-correct activation protocol을 시행했을 때 fMRI에서의 반응읎 확읞되었닀[48,49]. 또한 18FDG-PET 및 fMRI륌 읎용하여 환자듀에게 테니슀륌 치는 상상곌 같은 욎동 상상(motor imagery task), 집을 걞얎가멎서 각 방을 볎는 상상곌 같은 공간 탐지 상상(spatial navigation task)을 수행하게 하였을 때 VS/UWS로 진닚된 환자듀의 음부 환자에서 18FDG-PET와 fMRI에서 반응읎 확읞되었닀[50]. 2018년 AAN 진료지칚에서는 왞상 뇌손상 후 1-60개월에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fMRI륌 사용하여 청각연합플질의 활성화륌 확읞핚윌로썚 12개월 의식 회복 여부륌 예잡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닀고 권고하였닀[3].
Ʞ능적 뇌영상은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시각화할 수 있Ʞ 때묞에 의식장애 환자의 진닚, 예후, 치료 등에 귌볞적읞 변화륌 가젞올 수 있는 잠재력읎 있닀. 하지만 의식장애 환자의 평가 및 예후 예잡 잡멎에서 임상적읞 유용성에 대한 검슝읎 더 필요하며 시행할 수 있는 섌터가 제한적읎띌는 닚점읎 졎재한닀.
(5) fNIRS
(5) fNIRS
fNIRS는 산화혈색소(oxyhemoglobin)곌 탈산소혈액소(deoxyhemoglobin)의 농도 변화 및 국소 뇌산소포화도(regional oxygen saturation, rSO2)륌 ìž¡ì •í•  수 있는 장비읎닀. 읎마에 붙읎는 형태, 헬멧 형태 등 닀양한 형태의 장비가 있윌며 비칚습적읎고 휎대성읎 뛰얎나며 간펞하게 착용할 수 있Ʞ 때묞에 맀음 잡정하여 추읎륌 확읞할 수 있닀는 장점읎 있닀[51,52]. 또한 닀쀑 채널 장비륌 읎용하멎 공간적 핎상도륌 확볎할 수 있닀. 현재까지 심정지 환자에서 닚음 rSO2 값곌 의식 정도, 뇌 손상 정도와의 ꎀ렚성을 볞 연구듀읎 있지만 직접적읞 연ꎀ성읎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닀. 따띌서 닚음 rSO2값만윌로 뇌 손상 정도와 예후륌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점읎 있닀[53]. 하지만 fNIRS륌 읎용하여 연결성 분석(connectivity analysis), wavelet phase coherence analysis 등의 분석 방법을 통하여 뇌 활성도륌 잡정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닀[52,54].
(6) 생묌표지자(biomarker)
(6) 생묌표지자(biomarker)
심정지 후 예후 평가에 신겜섞포특읎엔올분핎횚소(neuron-specific enolase, NSE)가 사용되며 48시간 또는 72시간 후의 혈청 NSE 수치가 지속적윌로 상승하멎 불량한 예후와 연ꎀ된닀[55]. 최귌 neurofilament light chain읎 심정지 후 예후륌 예잡하는 지표로 알렀지고 있윌며 수치가 높을수록 불량한 예후와 ꎀ렚된닀[56]. ê·ž 왞에도 S-100ß,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tau protein, amyloid-ß,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2,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등의 바읎였마컀가 연구되얎 왔윌나 현재까지 ê·ž 유용성은 명확하지 ì•Šë‹€. 최귌에는 전사첎, 대사첎, 지질첎 등의 였믹슀 데읎터 프로파음링을 통핎 각 의식장애륌 분류하고 진닚하고자 하는 시도가 읎룚얎지고 있닀.
ê²° ë¡ 
ê²° ë¡ 
2018년 AAN 진료지칚에서는 반복적읞 신겜행동 평가에도 불구하고 의식 징후가 몚혞할 겜우 Ʞ능적 영상 또는 ì „êž° 생늬학적 검사륌 활용하는 것을 아직까지는 낮은 수쀀읞 권고 수쀀 C로 권고하고 있닀[3]. 신겜행동 평가에서는 의식 징후륌 확읞하지 못했지만 Ʞ능적 영상 및 전Ʞ생늬 검사에서 의식 징후륌 시사하는 소견읎 확읞되었을 겜우에는 신겜행동 평가륌 더 자죌 시행하고 재활 치료의 강도륌 낮추는 결정을 유볎할 것을 권고한닀. 슉 각 검사듀의 가격 대비 활용성, 접귌성 등을 고렀할 때 읎륌 진료지칚에 음ꎄ적윌로 반영하Ʞ에는 아직 불충분한 멎읎 있지만 개별 환자에서 의식 회복의 징후륌 찟는 것 자첎는 여전히 쀑요하닀고 할 수 있닀. 특히 왞상 뇌손상 환자는 닀륞 원읞 질환에 비핎 의식 회복 가능성읎 더 높고 환자 예후륌 예잡하Ʞ 위핎 2-3개월짞에 P300곌 뇌파 반응성, 6-8죌짞 fMRI, 1-2개월짞에 닚음ꎑ자방출컎퓚터닚잵쎬영(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을 사용할 수 있닀고 권고한닀[3].
읎처럌 닀각도의 ì ‘ê·Œ(multimodal approach)을 통하여 VS/UWS로 잘못 진닚된 환자듀로부터 MCS 환자륌 구분하거나 CMD, eMCS 등 의식읎 회복되얎 가는 곌도Ʞ적 상태륌 포착하는 것은 쀑요하닀. 읎륌 통핎 볎닀 적극적읞 치료가 필요한 환자륌 ì°Ÿì•„ë‚Œ 수 있고 반대로 불필요한 치료륌 쀑닚하는 것에 대한 볎혞자와의 멎닎을 용읎하게 할 수 있닀. 볞 종섀에서 녌의한 자동 동공잡정계, 뇌파, 유발전위, 뇌영상, fNIRS 등은 몚두 비칚습적읞 몚니터링 도구띌는 장점읎 있윌며 각 검사듀의 장점곌 한계점을 알고 환자별, 상황별로 유연하게 사용핚윌로썚 정밀하고 개별화된 치료륌 도몚할 수 있을 것읎닀.
Acknowledgments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fund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No. 0320210350, 2021-1457).

Figure.
Illustration of the two major components of conscious: the level of consciousness and the content of consciousness. Reproduced from Jöhr et al. [57] which was adapted from Laureys [58] with permission.
jkna-42-2-107f1.tif
Table 1.
Multimodal approaches for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Methods Role
Neurobehavioral assessments GCS, FOUR score: provide rapid and easy assessment
CRS-R, WHIM, SMART, WNSSP, SSIM: differentiate between MCS and VS/UWS
Automated quantitative pupillometry Quantifies of pupillary light reflex
Provides rapid and easy assessment
Useful for lesion localization
Evaluates changes in patient conditions such as increased ICP, herniation, and cerebral edema
EEG EEG reactivity: identifies signs of consciousness
qEEG: assesses spectral power, approximate entropy, and functional connectivity
EP N20 at SSEP: in cardiac arrest patients, a bilateral absence i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P300: detects signs of consciousness
Brain imaging CT, MRI: assess structural lesions
fMRI, 18FDG-PET, SPECT: visualize brai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fNIRS Rapid and available at the bedside
Allows connectivity analysis and wavelet phase coherence analysis
Biomarker NSE: used in the prognostication of patients after cardiac arrest

GCS; Glascow coma scale, FOUR; full outline of unresponsiveness, CRS-R; coma recovery scale-revised, WHIM; Wessex head injury matrix, SMART; sensory modality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technique, WNSSP; Western neuro sensory stimulation protocol, SSIM; sensory stimulation assessment measure, MCS; minimally conscious state, VS; vegetative state, UWS;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ICP; intracranial pressure, EEG; electroencephalogram, qEEG; quantitative EEG, EP; evoked potential, SSEP; somatosensory EP, CT; computed tom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functional MRI, 18FDG-PET; 18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T, 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NSE; neuron-specific enolase.

REFERENCES
REFERENCES

1. Slooter AJC, Otte WM, Devlin JW, Arora RC, Bleck TP, Claassen J, et al. Updated nomenclature of delirium and acute encephalopathy: statement of ten Societies. Intensive Care Med 2020;46:1020-1022.
[Article] [PubMed] [PMC]
2. Kondziella D, Bender A, Diserens K, van Erp W, Estraneo A, Formisano R, et al. European Academy of Neurology guideline on the diagnosis of coma and other disorders of consciousness. Eur J Neurol 2020;27:741-756.
[Article] [PubMed]
3. Giacino JT, Katz DI, Schiff ND, Whyte J, Ashman EJ, Ashwal S, et al. Practice guideline update recommendations summary: disorders of consciousness: report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the American Congress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the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 Neurology 2018;91:450-460.
[PubMed] [PMC]
4. Giacino JT, Ashwal S, Childs N, Cranford R, Jennett B, Katz DI, et al. The minimally conscious state: definition and diagnostic criteria. Neurology 2002;58:349-353.
[Article] [PubMed]
5. Bruno MA, Vanhaudenhuyse A, Thibaut A, Moonen G, Laureys S. From unresponsive wakefulness to minimally conscious PLUS and functional locked-in syndromes: recent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of disorders of consciousness. J Neurol 2011;258:1373-1384.
[Article] [PubMed]
6. Edlow BL, Claassen J, Schiff ND, Greer DM. Recovery from disorders of consciousness: mechanisms, prognosis and emerging therapies. Nat Rev Neurol 2021;17:135-156.
[Article] [PubMed] [PMC]
7. Kondziella D, Friberg CK, Frokjaer VG, Fabricius M, MÞller K. Preserved consciousness in vegetative and minimal conscious stat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6;87:485-492.
[Article] [PubMed]
8. Teasdale G, Maas A, Lecky F, Manley G, Stocchetti N, Murray G. The Glasgow coma scale at 40 years: standing the test of time. Lancet Neurol 2014;13:844-854.
[Article] [PubMed]
9. Wijdicks EF, Bamlet WR, Maramattom BV, Manno EM, McClelland RL. Validation of a new coma scale: the FOUR score. Ann Neurol 2005;58:585-593.
[Article] [PubMed]
10. Schnakers C, Vanhaudenhuyse A, Giacino J, Ventura M, Boly M, Majerus S,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the vegetativ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 clinical consensus versus standardized neurobehavioral assessment. BMC Neurol 2009;9:35.
[Article] [PubMed] [PMC]
11. Giacino JT, Kalmar K, Whyte J. The JFK coma recovery scale-revise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utilit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020-2029.
[PubMed]
12. Couret D, Boumaza D, Grisotto C, Triglia T, Pellegrini L, Ocquidant P, et al. Reliability of standard pupillometry practice in neurocritical care: an observational, double-blinded study. Crit Care 2016;20:99.
[Article] [PubMed] [PMC]
13. Bower MM, Sweidan AJ, Xu JC, Stern-Neze S, Yu W, Groysman LI. Quantitative pupillometry in the intensive care unit. J Intensive Care Med 2021;36:383-391.
[Article] [PubMed]
14. Kim TJ. Quantitative assessments of pupillary light reflexes in neurocritically ill patients. J Neurocrit Care 2022;15:79-87.
[Article]
15. Privitera CM, Neerukonda SV, Aiyagari V, Yokobori S, Puccio AM, Schneider NJ, et al. A differential of the left eye and right eye neurological pupil index is associated with discharge modified Rankin scores in neurologically injured patients. BMC Neurol 2022;22:273.
[Article] [PubMed] [PMC]
16. Suys T, Bouzat P, Marques-Vidal P, Sala N, Payen JF, Rossetti AO, et al. Automated quantitative pupillometry for the prognostication of coma after cardiac arrest. Neurocrit Care 2014;21:300-308.
[Article] [PubMed]
17. Riker RR, Sawyer ME, Fischman VG, May T, Lord C, Eldridge A, et al. Neurological pupil index and pupillary light reflex by pupillometry predict outcome early after cardiac arrest. Neurocrit Care 2020;32:152-161.
[Article] [PubMed]
18. Oddo M, Sandroni C, Citerio G, Miroz JP, Horn J, Rundgren M, et al. Quantitative versus standard pupillary light reflex for early prognostication in comatose cardiac arrest patients: an international prospective multicenter double-blinded study. Intensive Care Med 2018;44:2102-2111.
[Article] [PubMed] [PMC]
19. Osman M, Stutzman SE, Atem F, Olson D, Hicks AD, Ortega-Perez S, et al. Correlation of objective pupillometry to midline shift in acute stroke patients. J Stroke Cerebrovasc Dis 2019;28:1902-1910.
[Article] [PubMed]
20. Kim TJ, Ko SB. Implication of neurological pupil index for monitoring of brain edema. Acute Crit Care 2018;33:57-60.
[Article] [PubMed] [PMC]
21. Yan S, Tu Z, Lu W, Zhang Q, He J, Li Z, et al. Clinical utility of an automated pupillometer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recipients of liv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 2009;15:1718-1727.
[Article] [PubMed]
22. Favre E, Bernini A, Morelli P, Pasquier J, Miroz JP, Abed-Maillard S, et al. Neuromonitoring of delirium with quantitative pupillometry in sedated mechanically ventilated critically ill patients. Crit Care 2020;24:66.
[Article] [PubMed] [PMC]
23. Bagnato S, Boccagni C, Sant’Angelo A, Prestandrea C, Mazzilli R, Galardi G. EEG predictors of outcome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admitted for intensive rehabilitation. Clin Neurophysiol 2015;126:959-966.
[Article] [PubMed]
24. Westhall E, Rossetti AO, van Rootselaar AF, Kjaer TW, Horn J, Ullén S, et al. Standardized EEG interpretation accurately predicts prognosis after cardiac arrest. Neurology 2016;86:1482-1490.
[PubMed] [PMC]
25. Synek VM. Prognostically important EEG coma patterns in diffuse anoxic and traumatic encephalopathies in adults. J Clin Neurophysiol 1988;5:161-174.
[Article] [PubMed]
26. Young GB, McLachlan RS, Kreeft JH, Demelo JD. An electroencephalographic classification for coma. Can J Neurol Sci 1997;24:320-325.
[Article] [PubMed]
27. Roest A, van Bets B, Jorens PG, Baar I, Weyler J, Mercelis R. The prognostic value of the EEG in postanoxic coma. Neurocrit Care 2009;10:318-325.
[Article] [PubMed]
28. Lechinger J, Bothe K, Pichler G, Michitsch G, Donis J, Klimesch W, et al. CRS-R score in disorders of consciousness is strongly related to spectral EEG at rest. J Neurol 2013;260:2348-2356.
[Article]
29. Coleman MR, Menon DK, Fryer TD, Pickard JD. Neurometabolic coupling in the vegetative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s: preliminary finding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5;76:432-434.
[Article] [PubMed] [PMC]
30. Stefan S, Schorr B, Lopez-Rolon A, Kolassa IT, Shock JP, Rosenfelder M, et al. Consciousness indexing and outcome prediction with resting-state EEG in severe disorders of consciousness. Brain Topogr 2018;31:848-862.
[Article] [PubMed]
31. Sarà M, Pistoia F, Pasqualetti P, Sebastiano F, Onorati P, Rossini PM. Functional Isolation within the cerebral cortex in the vegetative state: a nonlinear method to predict clinical outcome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1;25:35-42.
[Article] [PubMed]
32. Naro A, Bramanti A, Leo A, Cacciola A, Manuli A, Bramanti P, et al. Shedding new light on disorders of consciousness diagnosis: the dynamic functional connectivity. Cortex 2018;103:316-328.
[Article] [PubMed]
33. Wu DY, Cai G, Zorowitz RD, Yuan Y, Wang J, Song WQ. Measuring interconnection of the residual cortical functional islands in persistent vegetative state and minimal conscious state with EEG nonlinear analysis. Clin Neurophysiol 2011;122:1956-1966.
[Article] [PubMed]
34. Leon-Carrion J, Leon-Dominguez U, Pollonini L, Wu MH, Frye RE, Dominguez-Morales MR, et al. Synchronization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cortex determines consciousness level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Brain Res 2012;1476:22-30.
[Article] [PubMed]
35. Claassen J, Doyle K, Matory A, Couch C, Burger KM, Velazquez A, et al. Detection of brain activation in unresponsive patients with acute brain injury. N Engl J Med 2019;380:2497-2505.
[Article] [PubMed]
36. Lachance B, Wang Z, Badjatia N, Jia X.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and neuroprognostication after cardiac arrest. Neurocrit Care 2020;32:847-857.
[Article] [PubMed] [PMC]
37. Young GB. Clinical practice. Neurologic prognosis after cardiac arrest. N Engl J Med 2009;361:605-611.
[Article] [PubMed]
38. Leithner C, Ploner CJ, Hasper D, Storm C. Does hypothermia influence the predictive value of bilateral absent N20 after cardiac arrest? Neurology 2010;74:965-969.
[Article] [PubMed]
39. Arciniegas-Villanueva AV, Fernández-Diaz EM, González-García E, Sancho-Pelluz J, Mansilla-Lozano D, Diaz-Maroto MI, et al. Functional and prognostic assessment in comatose patients: a study using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Front Hum Neurosci 2022;16:904455.
[PubMed] [PMC]
40. Sutton S, Braren M, Zubin J, John ER. Evoked-potential correlates of stimulus uncertainty. Science 1965;150:1187-1188.
[Article] [PubMed]
41. Donchin E. Presidential address, 1980. Surprise!...Surprise? Psychophysiology 1981;18:493-513.
[Article] [PubMed]
42. Picton TW. The P300 wave of the human event-related potential. J Clin Neurophysiol 1992;9:456-479.
[Article] [PubMed]
43. Qin P, Di H, Yan X, Yu S, Yu D, Laureys S, et al. Mismatch negativity to the patient’s own name in chronic disorders of consciousness. Neurosci Lett 2008;448:24-28.
[Article] [PubMed]
44. Vanhaudenhuyse A, Laureys S, Perrin F. Cognitive event-related potentials in comatose and post-comatose states. Neurocrit Care 2008;8:262-270.
[Article] [PubMed]
45. Schnakers C, Perrin F, Schabus M, Majerus S, Ledoux D, Damas P, et al. Voluntary brain processing in disorders of consciousness. Neurology 2008;71:1614-1620.
[Article] [PubMed]
46. Castro M, Tillmann B, Luauté J, Corneyllie A, Dailler F, André-Obadia N, et al. Boosting cognition with music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5;29:734-742.
[Article] [PubMed]
47. Hirsch KG, Fischbein N, Mlynash M, Kemp S, Bammer R, Eyngorn I, et al. Prognostic value of diffusion-weighted MRI for post-cardiac arrest coma. Neurology 2020;94:e1684-e1692.
[Article] [PubMed] [PMC]
48. Monti MM, Rosenberg M, Finoia P, Kamau E, Pickard JD, Owen AM. Thalamo-frontal connectivity mediates top-down cognitive functions in disorders of consciousness. Neurology 2015;84:167-173.
[Article] [PubMed] [PMC]
49. Kotchoubey B, Yu T, Mueller F, Vogel D, Veser S, Lang S. True or false? Activations of language-related areas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Curr Pharm Des 2014;20:4239-4247.
[Article] [PubMed]
50. Stender J, Gosseries O, Bruno MA, Charland-Verville V, Vanhaudenhuyse A, Demertzi A, et al. Diagnostic precision of PET imaging and functional MRI in disorders of consciousness: a clinical validation study. Lancet 2014;384:514-522.
[Article] [PubMed]
51. Piper SK, Krueger A, Koch SP, Mehnert J, Habermehl C, Steinbrink J, et al. A wearable multi-channel fNIRS system for brain imaging in freely moving subjects. Neuroimage 2014;85:64-71.
[Article] [PubMed] [PMC]
52. Akila V, Johnvictor AC.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for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a graph theoretic approach. Heliyon 2023;9:e15002.
[Article] [PubMed] [PMC]
53. Jakkula P, HÀstbacka J, Reinikainen M, PettilÀ V, Loisa P, Tiainen M, et al. Near-infrared spectroscopy afte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Crit Care 2019;23:171.
[Article] [PubMed] [PMC]
54. Novi SL, Rodrigues RB, Mesquita RC. Resting state connectivity patterns with near-infrared spectroscopy data of the whole head. Biomed Opt Express 2016;7:2524-2537.
[Article] [PubMed] [PMC]
55. Nolan JP, Sandroni C, Böttiger BW, Cariou A, Cronberg T, Friberg H, et al.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and European Society of Intensive Care Medicine guidelines 2021: post-resuscitation care. Intensive Care Med 2021;47:369-421.
[Article] [PubMed] [PMC]
56. Fu Y, Fan XT, Li H, Zhang R, Zhang DD, Jiang H, et al. Neuroprognostication value of serum neurofilament light chai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23;18:e0290619.
[Article] [PubMed] [PMC]
57. Jöhr J, Pignat JM, Diserens K. Neurobehavioural evaluation of disorders of consciousness. Schweiz Arch Neurol Psychiatr 2015;166:163-169.
[Article]
58. Laureys S. The neural correlate of (un)awareness: lessons from the vegetative state. Trends Cogn Sci 2005;9:556-559.
[Article] [PubMed]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