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세 여자환자가 갑작스런 혼미와 기억장애로 내원하였다. 두통이나 마비, 경련, 발열은 없었으며 뇌척수액검사는 경미한 단백증가 외에 정상으로 감염질환을 배제하였다. 확산강조영상과 액체감쇄역전회복영상에서 혈관성부종이 의심되는 양측 시상부위의 고신호강도병변이 관찰되었다(Fig. A). 갑상선기능검사상 TSH (4.96 mIU/L)의 증가와 항TPO항체(145 IU/mL 이상), 항갑상선글로불린항체(430 IU/mL 이상)의 증가로 하시모토뇌병증 진단하에 5일간 메틸프레드니솔론(250 mg/day) 정맥투여로 임상증상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경구 프레드니솔론(70 mg/day) 변경 1주 후 항갑상선글로불린항체는 197.46 IU/mL로 감소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소견이 정상화되었다(Fig. B). 28일째 치료 종료 시 항TPO항체는 85.47 IU/mL, 항갑상선글로불린항체는 56.27 IU/mL였다.